HOME | TBS뉴스센터 | 지역사회 | 영상소식 | 고성소식 | 인물/동정 | 정치활동 | 문화관광 | 기업체소식 | 사설/칼럼 | 교육청소년 | 공지사항 | 기자수첩 | 통영이야기

기자수첩

‘침묵의 살인자’ 고지혈증, 10년 만에 3배 증가... 젊은층도 위험

기자수첩|입력 : 2025-09-04

 

- 해마다 증가세.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 가능


1.jpg

   

매년 94일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제정한 콜레스테롤의 날이다. 인스턴트와 배달 음식 위주 식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로 인해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여 고지혈증이 생기면 심혈관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014년 이후 지난 10년 동안 국내 사망 원인 2위는 심장질환이며, 같은 기간 고지혈증 환자는 약 3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고지혈증이 심각한 건강 문제로 떠올랐음을 보여준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4631,792명이었던 고지혈증 환자가 20241853,024명으로 크게 늘었다고 밝히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남지부 강수민 과장은 침묵의 살인자라는 고지혈증은 초기 증상이 없어서 내버려 두기 쉽지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지혈증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특히 심장병(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정기 검사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젊은 층 환자도 뚜렷한 증가세, 안심할 수 없어

고지혈증은 혈액 속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같은 지방 성분이 과도하게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혈관에 쌓인 지방 덩어리(죽상경화반)는 혈관 탄력을 떨어뜨리고 혈액 순환을 방해하며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금식한 뒤 채혈 검사결과, 총콜레스테롤 200mg/dL 이상, LDL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 중성지방 150mg/dL 이상인 경우 고지혈증으로 진단한다.

   

고지혈증이 생기면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심근경색은 급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질환이다.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이 발생한다. 뇌졸중은 신체 마비, 언어 장애와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팔다리를 비롯한 말초 혈관이 좁아지면 손발이 저리거나 차가워지며, 심한 경우 괴사할 수 있다.

   

2024년 기준으로 50~60대가 전체 환자에 62.7%를 차지해 중장년층 유병률이 가장 높지만, 20~30대 환자도 꾸준히 늘고 있어서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다. 기름지고 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식습관, 스트레스, 음주, 흡연이 복합 작용을 해 젊은 층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 고지혈증 치료와 예방,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 검진이 핵심

고지혈증 예방과 치료에 기본은 생활습관 개선이다.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많은 붉은 육류, 가공식품, 튀김류는 줄이고, 오메가 3계 지방산이 풍부한 등푸른생선, 견과류,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탄수화물(특히 단순당)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중성지방이 증가하고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걷기, 조깅,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은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3~5,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좋다. 비만은 고지혈증 주요 원인이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목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위험도가 높다면 약물치료를 같이해야 한다. 약물치료에는 스타틴(Statin) 계열 약물이 가장 널리 쓰이는데, 이 약은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약물은 꾸준히 복용하고 정기 검진을 받아야 하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고지혈증은 증상이 없어서 일찍 찾아내기 어려우므로 정기 건강검진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국가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된 혈액 검사로도 고지혈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흡연자,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 질환 조기 발병 가족력, 위험 연령(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고위험군이라면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남지부 강수민 과장은 고지혈증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고,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으므로, 유전적인 고지혈증을 제외하면 식사 조절과 함께 적절한 운동으로 예방할 수 있으니 꾸준한 관리와 올바른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남지부






통영방송 gsinews@empas.com

ⓒ 통영방송 www.tbs789.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작성자 : |비밀번호 :

0/300bytes 

최근뉴스

TEL. 070)7092-0174

09:00 ~ 18:00 (주말, 공휴일 휴무)

회사소개
  • 상호명 : 내고향TV 통영방송789 , 대표 : 한창식, 사업자번호 : 609-20-77639, 등록번호 : 경남 아 00206
  • 주소 : 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304(무전동) , Email : gsinews@empas.com
  • 대표전화 : 070)7092-0174 , 정보보호책임자 : 한창식(gsinews@empas.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창식
  • copyright ⓒ 2012 통영방송789. All rights reserved.